2009년 11월 30일 월요일

[Office] 엑셀 이중축 그리기

excel에서 이중축 그래프 그리기가 가끔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저도 매번 까먹어서 네이버에게 묻곤합니다.

오늘도 역시 찾아보다가 잘정리해놓은 글이 있어 등록해봅니다.

 

이중축차트 생성작업의 핵심은 원하는 계열을 클릭후 우클릭 > 데이터계열서식 > '보조축' 을 선택해주시는 것입니다.

 

 

========================================================================================================

<설명 원본>

 

1. 먼저 차트를 만들기위한 원본데이터가 필요합니다.

 

2. 이제 원본데이터 범위를 설정합니다. 성명(A3:A12)을 선택하고 CTRL 을 누른상태로 국어,외국어,수학,총점(C3:F12) 를 선택합니다.

3. 차트작성을 시작합니다. 먼저 차트종류를 설정합니다. 삽입-차트-세로막대형 에서 묶은세로막대형 을 선택합니다.

 

4. 차트가 일단 바로 만들어져 시트에 삽입됩니다.

 

5. 이제는 총점의 차트종류를 꺽은선 형태로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차트에서 보라색의 총점 계열을 선택하고 마우스우클릭합니다. 바로가기메뉴에서 '계열 차트종류 변경' 을 선택합니다.

 

6. 차트종류변경창에서 꺽은선형 중 '표식이있는 꺽은선형' 을 선택합니다.

 

7. 총점계열의 차트종류가 변경 되었습니다. 변경된 총점계열(꺽은선형)을 선택하고 마우스우클릭합니다.

 

데이터계열서식을 선택하여 총점계열에 서식을 적용합니다.

8. 데이터계열서식 창입니다. 왼쪽에서 '계열옵션' 을 선택해주고 오른쪽에서 데이터계열의 축을 기본축에서 보조축으로 변경해 줍니다.

 

이것이 이중축차트 생성작업의 핵심입니다. 보조축(오른쪽의 Y축)으로 보낼 계열의 데이터계열서식에서 '보조축' 을 선택해주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전 버전에서는 데이터계열서식의 축탭에 있었던 옵션입니다.

9. 모든 작업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최종 결과입니다.

이중축혼합형과 같은 결과이지요. ^^.


엑셀 2007에서는 이렇게 이중축혼합형 을 만들어 낼 수 있네요. ^^


마늘빵@루트로 http://secstart.tistory.com/308

[WINDOW] 관리 프로그램 명령 diskmgmt.msc

시작 -> 실행 (Win + R)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와 관련 시스템 도구 창을 연다
diskmgmt.msc 디스크 관리
eventvwr.msc : 윈도우즈 메시지가 담긴 이벤트를 본다.
gpedit.msc 도메인 또는 액티브 디렉토리나 pc에 저장되어있는 조직 단위에 연결된 그룹 정책 개체를 편집하는 '로컬 컴퓨터 정책'을 연다.
perfmon.msc 시스템 성능을 감시하고 로그와 경고를 기록한다.
secpol.msc 로컬 보안설정을 열어 도메인의 pc 보안정책을 정의하게 도와준다.
devmgmt.msc 하드웨어 장치 목록을 보고 각 장치에 대한 특성을 정하는 '장치관리자' 창을 연다.
dfrg.msc '디스크 조각모음'창을 연다.
fsmgmt.msc 공유폴더를 띄운다.
lusrmgr.msc 로컬 이용자를 확인한다.
rsop.msc 정책의 결과 집합 창을 연다.
services.msc 서비스 창을 띄운다.

[WINDOW] 휴지통 이름바꾸기


간단한 레지스트리 속성변경
휴지통 이름바꾸기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ShellFolder
내 Attributes 를 수정 40 01 00 20 -> 70 01 00 20 으로 변경

[Office] 다름이름으로 저장 하기 단축키


Office2007로 넘어오면서 메뉴의 동그란 버튼을 누르고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해 줘야하는데

단축키가 없을까 검색해보니 바로 나오네요

Offce 프로그램들(엑셀,파포,워드,등등) 은 F12 키를 누르면 다른이름으로 저장 하기가 바로 뜹니다.

참고하세요


2009년 11월 29일 일요일

[WINDOW] 다른이름으로 저장할때 왼쪽에 뜨는 목록 수정하기


파일을 저장할때 일일히 원하는 디렉토리를 내컴퓨터부터 찾아찾아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운일을 없애주는 좋은TIP입니다.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Places Bar라고 부르더군요)

http://windowsxp.mvps.org/PlacesBar.htm

 

1) 레지스트리 직접 수정

2) XP 파워토이의 TweakUI를 이용한 방법

3) XP Pro 버젼의 gpedit.msc를 이용하는 방법

 

입니다.

 

 

1) 레지스트리 직접 수정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comdlg32\PlacesBar
"Place0"="e:\\XP Utils"
"Place1"="e:\\research"
"Place2"="e:\\Registry Patches"
"Place3"="e:\\UtilitiesSet 2"
"Place4"="e:\\UtilitiesSet

 

2) XP 파워토이의 TweakUI를 이용한 방법

TweakUI를 설치한 후에(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f/c/a/fca6767b-9ed9-45a6-b352-839afb2a2679/TweakUiPowertoySetup.exe),

Common Dialogs 항목에 보면 Places Bar에 대한 설정이 있습니다.

디폴트/숨김/커스텀을 지정할 수 있는데, 커스텀을 선택하고 폴더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3) XP Pro 버젼의 gpedit.msc를 이용하는 방법

실행창에서 gpedit.msc를 입력하고, 그 창에서

사용자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탐색기 | 공용 파일 열기 대화 상자 | 바로 가기 모음 표시 항목을 클릭하고 "사용"에 체크한 후 지정할 디렉토리 경로를 넣어주면 됩니다. (5개까지 가능)

 

 

 

혹시나, 저처럼 위의 레지스트리 값이 없으신분은  MS Office 계열만 아래와 같이 수정가능합니다.^^

 

<office 2003>

 


<office 2007>

 

다른 항목은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왼쪽 창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

 

폴더를 추가 또는 제거 할 수 있습니다.

 






2009년 11월 26일 목요일

[WINDOW_XP]드라이브문자 변경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cid=kb;ko;223188

[짬통] 괜찮은 블로그

http://qaos.com/viewnotice 윈도우 OS팁

http://i-dreaming.com/2511646 아이폰/프리젠테이션


[WINDOW] cmd에서 숨겨진 파일 copy하기



cmd창에서 조회가 되더라도
속성이 숨겨진 파일이면 copy가 안먹는다. 때문에
attrib -r -s -h c:\boot.ini
와같이 속성을 변경 후 copy해야 한다.

========================================================
C:\Users\root>attrib /?
파일 특성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변경합니다.

ATTRIB [+R | -R] [+A | -A ] [+S | -S] [+H | -H] [+I | -I]
       [드라이브:][경로][파일 이름] [/S [/D] [/L]]

  +   특성을 설정합니다.
  -   특성을 지웁니다.
  R   읽기 전용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
  A   보관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
  S   시스템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
  H   숨김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
  I   콘텐츠가 인덱싱되지 않은 파일 특성을 설정합니다.
  [드라이브:][경로][파일 이름]
      ATTRIB 명령을 수행할 파일을 지정합니다.
  /S  현재 폴더와 모든 하위 폴더에서 일치하는 파일을
      처리합니다.
  /D  폴더를 처리합니다.
  /L  기호화된 링크의 대상과 기호화된 링크의 특성에 대해
      작업합니다.


2009년 11월 21일 토요일

[WINDOW] Window 로그인시 패스워드 묻지 않기 (자동로그인)

winxp, 2003/8. 7 공통


로그인시 비밀번호 묻지않기.

실행 -> Control userpasswords2 엔터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체크해제


추가로

WINDOW SERVER 2003/2008일 경우

기본적으로 ALT+CTRL+DEL을 눌러야 로그온을 할수있게 설정되어있다.

아래 설정을 해제하면  ALT+CTRL+DEL 없이 로그온 가능하다.

 확인/적용을 누르면 암호를 입력하고 설정을 끝낸다.




다음 부팅시부터는 암호를 물어보지 않는다.


2009년 11월 19일 목요일

[Unix] 계산

<bc로 하는법>
# echo 6 / 5 | bc
1
# echo 1.23 + 0.90 | bc
2.13
# echo 6.0 / 5.0 | bc
1
# echo 6.0 / 5.00 | bc
1
# echo 5 / 6.0 | bc


<expr로 하는법>

[퍼옴.linux] 파일에서 ^M을 지우기...

DOS와 UNIX간에 텍스트파일의 차이때문입니다.
DOS에서는 라인구분을 CR+LF를 사용하고, UNIX에서는 LF만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DOS의 텍스트파일을 UNIX로 보내면 끝에 CR이 보이게 됩니다.
(참고로 맥은 CR만을 사용합니다.)

^M을 안나오게 하려면 전송할때 binary대신 ascii로 재전송하거나,
vi등에서 ^M을 제거하면 됩니다.
또는 dos2unix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vi를 사용할때는 :1,$s/^M//g 와 같이 입력하면 파일에서 ^M을 찾아서 지워줍니다.
(^M을 입력할때는 Ctrl키를 누른상태에서 v와 m을 누르면 됩니다.)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님께서 다운받은 파일이 aaa 라면..

명령라인에서 >dos2unix aaa aaa.txt 라고 쳐 보세요.

그리고 , aaa.txt를 vi로 열어 보시면 ^M이 모두 사라져 있을 겁니다.


from http://edu.hansung.ac.kr/~pscyc/cgi-bin/spboard/board.cgi?id=solaris&action=view&gul=44&page=3&go_cnt=0

[Unix] Shell 날짜/시간 계산 하기 (date -d -1days, TZ=KST+15 date)


헉. 여태 수동으로 해왔던 내가 너무 초라해졌다.
-d 옵션으로 -ndays하면 된다니..ㅠㅠ바보
제길 -d 옵션이면 뭐든 다된다 +, - 훔..진작알았어야 할것을
man date를 너무 무심하게 봤나보다..ㅠㅠ
(휴. 다행히, 우리 장비와는 다른버전이었다. hp 11.23,
 아래 테스트는 리눅스....version확인해보니 아래와 같다.)
아무튼 리눅스는 이게 된다니 천국이다.
---------------------------------------------------------------------------------
# date --version
date (coreutils) 5.2.1
Written by David MacKenzie.

Copyright (C) 2004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This is free software; see the source for copying conditions.  There is NO
warranty; not even for MERCHANTABILITY or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
---------------------------------------------------------------------------------

# date
Thu Nov 19 22:56:09 KST 2009
# date -d -1months
Mon Oct 19 22:56:23 KST 2009
# date -d +1years
Fri Nov 19 22:56:38 KST 2010
# date -d -1days
Wed Nov 18 22:56:57 KST 2009
# date -d -1minutes
Thu Nov 19 22:56:15 KST 2009
# date
Thu Nov 19 22:57:19 KST 2009
# date -d -1hours
Thu Nov 19 21:57:33 KST 2009
#



date +%C%y%m%d
20090902(금일)
date +%C%y%m%d -d -1days
20090901(어제)


Posted by bumworld
linux l 2009/09/02 17:30




==============================================================
내가 만든 소스도 공유해본다.
==============================================================
#!/bin/ksh

## SET Variable
YEAR=`date +%Y`
MONTH=`date +%m`
DAY=`date +%d`
#YEAR=2011
#MONTH=1
#DAY=1

MONTH_NAME=""
SETI=8 # modify you want n times
TEMPI=0 # leave set 1

echo "TODAY IS $YEAR$MONTH $DAY"

## calculate last month's last day #input) $MONTH $1
GET_PMONTH_LDAY()
{
  MONTH=`expr $1 - 1`
  DAY=`cal $MONTH $YEAR | tail +3 | wc -w`
}

## calculate last month #input) $MONTH $YEAR $1 $2
GET_PMONTH()
{
   if [ $1 -eq 1 ] # case - Jan 1st
   then
     YEAR=`expr $2 - 1`
     MONTH=12
   else
     MONTH=`expr $1 - 1`
   fi
}

## calculate yesterday  #input) $DAY $MONTH $YEAR
GET_PDAY()
{
  if [ $2 -eq 1 -a $1 -eq 1 ] # case - Jan 1st
   then
     YEAR=`expr $3 - 1`
     DAY=31
     MONTH=12
  elif [ $1 -eq 1 ] # case - every month 1st day
   then
     GET_PMONTH_LDAY $MONTH
  else # case - Normal day
     DAY=`expr $1 - 1`
  fi
}

#### 월숫자를 Jan 타입으로 변환하기

## Set MONTH_NAME   11->Nov #input) $MONTH $1
GET_MONTH_NAME()
{
  case $1 in
1 ) MONTH_NAME="Jan"
;;
2 ) MONTH_NAME="Feb"
;;
3 ) MONTH_NAME="Mar"
;;
4 ) MONTH_NAME="Apr"
;;
5 ) MONTH_NAME="May"
;;
6 ) MONTH_NAME="Jun"
;;
7 ) MONTH_NAME="Jul"
;;
8 ) MONTH_NAME="Aug"
;;
9 ) MONTH_NAME="Sep"
;;
10 ) MONTH_NAME="Oct"
;;
11 ) MONTH_NAME="Nov"
;;
12 ) MONTH_NAME="Dec"
;;
* ) ;;
esac
}
 
==========================================
Time Zone을 이용하면 HP 장비에서도 된다네.
 
root # date
2010년9월26일 (일), 오후 3시52분58초

root # TZ=KST+15 date
2010년9월25일 (토), 오후 3시53분0초

root # TZ=KST+14 date
2010년9월25일 (토), 오후 4시53분9초

root # TZ=KST+13 date
2010년9월25일 (토), 오후 5시53분11초

root # TZ=KST+12 date
2010년9월25일 (토), 오후 6시53분12초

root # TZ=KST+11 date
2010년9월25일 (토), 오후 7시53분14초

Unix shell

http://blog.naver.com/norther80/80010304158

1. Shell Program 소개

 

u      Shell 종류

 

/usr/bin/sh      POSIX Shell

/usr/bin/ksh     Korn Shell

/usr/old/bin/sh  Bourne Shell

/usr/bin/csh     C Shell

/usr/bin/keysh   Key Shell

/usr/bin/rksh    Restricted Korn Shell

/usr/bin/rsh     Restricted Shell

 

u      Shell Startup 파일

 

Korn Shell     /etc/profile -> $HOME/.profile -> $HOME/.kshrc

Bourne Shell   /etc/profile -> $HOME/.profile

POSIX Shell    /etc/profile -> $HOME/.profile -> $HOME/.kshrc

C Shell        $HOME/.login -> $HOME/.cshrc

 

2.Shell Parameter

 

u      Parameter Substitution

 

l         Parameter Setting

 

# Parameter=Value

# 변수명=값  : Named Parameter

 

l         Parameter의 Unsetting

 

# unset parameter

  # unset 변수명

u        Command Substitution

 

# $(command)       # `command`

 

2009년 11월 18일 수요일

[WINDOW_7] Windows 7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 응용 프로그램 호환성 확보



코알라님의 블로그에서 찾은 괜찮은 문서.
윈도우 자동설치, 이미지 만들기/복구, 등등  그동안 스누피님의 블로그에서 봐왔던
괜찮은 내용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

출처 :

원문 :
--------------------------------------------------------------------------------------------------

Windows7_h_rgb

Windows 7 출시 전, 조기 도입 프로그램(RDP, Rapid Deployment Program)을 통해서,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서 Windows 7 도입을 위한 호환성 검증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Windows Vista 시절부터 많은 기업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호환성 확보를 위해 꾸준히 활동해오신 (주) 네오플러스에서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Windows 7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제작하였습니다. 회사의 자산이지만, 많은 분들을 위해 제공해주신 네오플러스 측에 감사를 표시합니다.

image

해당 가이드는 상단의 이미지를 클릭하시거나, 포스팅내 링크를 클릭하시면, 제 SkyDrive로 연결되어져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Windows 7 도입을 검토하시거나, 호환성 확보를 하시고 계신 IT 엔지니어, 개발자 분들에게 더없이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Posted: Thursday, November 19, 2009 12:42 AM by 백승주(Seung Joo Baek)

Flickr

This is a test post from flickr, a fancy photo sharing thing.

Office 2007 word로 포스팅하기.

테스팅 중입니다.

Word2007의 기능중 하나로 새문서 -> 새 블로그 게시물 을 선택하여

작성한 글을 포스팅 할수 있다고 하네요..

[Util] 다중 클립보드



시디키 같은거 붙여넣기 할때 (특이 MS계열)

5글자씩 따로따로 COPY & PASTE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클립보드의 내용은 마지막 1개만 저장되기 때문에)

클립보드에 카피한 내용을 순서대로 잘 보관해주었다가.
ALT + C를 누르면 목록을 보여주고 선택한 후
붙여넣기 할수 있다.(텍스트뿐아니라, 그림도 여러개 관리된다)


상상했던만큼 쿨하진 않지만 썩 괜찮은 프로그램인듯.

개발자 홈페이지
http://www.nakka.com/

다운로드 페이지

2009년 11월 17일 화요일

[Unix] teraterm log파일 설정하기, Tera Term 4.64


UNIX 터미널 프로그램의 대표 무료툴인 teraterm

가볍고, 잘 안죽고, macro 기능 강력하고, 거기다 무료인 터미널 툴.

보통 많은 불들이 teraterm 2.3 버전(개발자가 2.3까지만 만들고 개발 중단함) 을 알고 있는데,

일본의 어느 forum? open 개발자 모임? Tera Term Project? 쯤되는 곳에서

teraterm의 개발을 계속 해 오고 있다.


최신버전은 2009년 11월 10일 버전,(Tera Term 4.64) 이고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1. 설치중 컴포넌트를 고를수 있는데, collector라는 놈을 설치하면,
   여러창을 TAB 으로 관리할수 있다.(개인적으로는 조금 불안정해서 설치안하고 그냥 쓴다)

2. teraterm을 사용하는동안 화명에 뿌려진 내용을 log파일로 떨굴수가 있는데,
   default 옵션으로는 한파일에만 계속 떨궈지기때문에 동시에 여러 창을 띄워서
   사용하면 로그관리가 어렵다.
   아래 그림처럼 teraterm_%Y%m%d.%H%M%S.txt 연도월일시분초.txt로 설정해주면
   창별로 로그를 떨굴수 있다.(대신 모든 창마다 떨궈지므로 로그파일이 무지하게 자주/많이 떨어진다)

3. 터미널 창에서 아마 가장 많이 하는 작업중 하나가 원하는 텍스트를 긁어서 우클릭하면,
   다시 프롬프트에 붙여지는 (drag & paste?) 작업을 일것이다.

  습관적으로 화면을 주우우우욱 드래그 해놓고 무의식적으로 우클릭해서 커맨드창에
  긁었던 모든 텍스트가 붙여지는 무서운 일이 발생하는것을 막기위해
  아래와같이 설정해 놓고 사용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 EnableContinuedLineCopy : 화면폭이작아 원래 한줄인데, 두줄로 보여지는 텍스트를 한줄처럼 카피

 ☆ DisableMouseRButtonPaste : 우클릭시 붙여넣는 기능

 ☆ ConfirmMouseRButtonPaste : 우클릭시 확인창이 떠서 진짜로 붙여넣을꺼냐 라고 물어봄

 ☆ DisableMouseMButtonPaste : 휠버튼 클릭스 붙여넣는 기능

 ☆ SelectOnlyByLbutton : 요건 default로 선택되어있는데, 해제해도 차이점을 모르겠음
                                          (아시는분있나요??^^)

  ConfirmChangePaste : 요게 핵심인데, 한줄이상 text를 붙여넣으려 할때 확인창을 띄워
                                           이텍스트를 진짜로 붙여넣을건지 물어봐준다.
                                           (갑자기 캡쳐가 안되서 다음기회에^^)
                                           방금 발견했는데, pc문제가 아니었네요. 테라텀에서 붙여넣으려할때
                                           확인창이 뜨는데, 그상태는 클립보드 lock 상태라 클립보드의 내용을
                                           변경할수 없네요. 대단한 테라텀

4. Macro 정말 강력한 기능(시간이되면 또 쓸께요^^ 오늘은 이정도만...)